목록해킹 보안 실습 (3)
starting po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GuCw/btqCz6xxPU2/lVC3ztsAlsjP2E9CY8En2K/img.png)
해당 실습은 개인 핫스팟을 이용한 제한된 환경에서 진행되었고, 해당 실습은 공부를 목적으로 진행했음을 알립니다. AP와 station간 암호화 키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에는 WEP, WPA, WPA2, WPA3가 있다. 현재 개인에게 보급된 대부분의 공유기는 WPA2를 사용하고 있다. WEP와 WPA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WEP, WPA를 사용할 경우 통신 속도에 제한을 두어 조금이라도 해킹 수행 시간을 늘리고 있다. 현재는 WPA2, WPA3를 권장하고 있다. 이번 실습은 WPA2-PSK를 사용하는 AP(공유기)와 station(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연결과정과 인증과정을 살펴보고, 패스워드를 크랙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AP와 station의 연결 과정 1. P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mgCP/btqCBwu8qsr/e7Yq44dkTHJ27EKSFJl91K/img.png)
해당 실습은 개인 핫스팟을 이용한 제한된 환경에서 진행되었고, 해당 실습은 공부를 목적으로 진행했음을 알립니다. 와이파이 :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IEEE 802.11 :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위한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다. 즉, 와이파이란 IEEE에서 만든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 802.11을 기반으로 만든 무선 근거리 통신망이고, 공유기가 이런 통신망을 실제로 구성해준다. 공유기를 AP(Access Point)라고 하며 공유기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들을 station이라고 한다. Deauth Attack은 AP와 station 간의 연결을 강제로 해제시키는 공격이다. 이는 Deauthentic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dMfS/btqCtYFUhNE/XXWAZd1waW11B7sNndOIQ0/img.png)
해당 실습은 개인 핫스팟을 이용한 제한된 환경에서 진행되었고, 해당 실습은 공부를 목적으로 진행했음을 알립니다. ARP 프로토콜이란 LAN 상에서 데이터의 목적지의 IP주소만 알고 MAC주소를 알고 있을 때 목적지의 MAC주소를 획득할 때 사용되는 통신규약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이 ARP스푸핑이다. 우선 ARP 프로토콜의 동작과정을 알아보겠다. A가 B의 MAC주소를 알아내는 과정이다. A가 보내는 ARP 패킷 opcode : request Source MAC : A의 MAC 주소 Source IP : A의 IP 주소 Target MAC : 00:00:00:00:00:00 Target IP : B의 IP 주소 A는 위와 같은 ARP request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한다. ..